본문 바로가기

해외주식 배우자 및 자녀 증여시 알아야 하는 것 ( 증여가액 산정하는 법, 증여세 신고 및 납부 유의사항)

곱하기곰 2024. 12. 19.

가족 중에 내가 결정하는 유일한 사람. 부모와 자식은 내가 정할 수 없지만 배우자만큼은 나의 선택입니다. 미우나 고우나 내 선택의 결과에 책임을 지며 살아야죠;;; 결혼을 많이 안 하는 시대라고는 하지만 배우자가 있다는 것은 좋은 점도 있습니다. 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를 절감할 수도 있답니다. (이것 때문에 결혼하지는 않겠지만요 ㅎㅎ)

 

 

 

1. 증여액 산정하는 방법

1) 증여일 전후 2개월 종가 평균 구하기

< 과거데이터 클릭하면 엑셀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주식의 값은 1분 안에 수십 번 변하기도 합니다. 그러면 증여액을 어떻게 결정할까요? 증여일 전후 2개월 종가의 평균가를 내서 증여재산을 평가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2024년 12월19일, 오늘 증여한다고 하면 2024년 10월 20일(증여일 -2개월+1일)부터 2025년 2월 18일까지(증여일+2개월-1일)의 종가를 평균한 값이라고 합니다. 이는 인베스팅닷컴에서 조회 가능하다고 하네요. (인베스팅 닷컴-종목검색-과거데이터 클릭)

 

그렇다면 평균가를 어떻게 구할까요?

위 사진은 인베스팅닷컴에서 다운받은 한 종목의 과거테이터인데요. B라인에 해당 날짜의 종가가 적혀있습니다. 그렇다면 B의 맨아래에 수식을 =AVERAGE(시작날짜 종가탭:마지막날짜 종가탭)을 적으시면 평균가가 자동계산됩니다. 

2) 환율 알아보기

<서울외국환중개 홈페이지에 가면 구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주식은 양도차익만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환차손이나 환차익도 계산해야 합니다. 증여일의 환율은 서울 외국환중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율조회-오늘의 환율-증여일선택-조회하기)  

 

3) 계산

자, 이제 계산해보겠습니다. 첫번째 단계에서 구한 종가평균 × 두번째 단계에서 구한 환율 × 증여 주식수 = 증여자산액이 됩니다. 

 

2. 증여세 신고 및 납부기한, 유의사항

해외주식 증여세는 증여한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여기서 유의할 사항은 증여액은 증여 전후 2개월의 평균이기 때문에 증여한 다음에 증여한 주가가 크게 오르면 예상한 증여액보다 높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배우자 간 증여액은 10년간 6억, 성인자녀에게는 5천만 원, 미성년자녀는 2천만 원이기 때문에 예상 증여액보다 높아지면 증여세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그런데,,,2025년에 해외주식 증여와 관련하여 크게 바뀌는 것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 꼭 확인해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