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챗GPT 지브리 스타일 열풍이 보여준 AI 투자 지형도: 미국 vs 중국, 어디에 베팅할까?

곱하기곰 2025. 4. 3.

요즘 프로필 사진은 다 지브리 스타일 이죠? 처음엔 무료 챗gpt도 가능하더니 이제는 유료로 가입한 사람만 가능하게 바뀌었습니다. 그 덕분에 챗gpt 유료가입자 수가 처음으로 100만 명 대를 돌파하는 등 신기록을 세우고 있는데요. 

 

샘올트먼-트위터

 

단순히 남들 따라서 지브리 스타일로 사진 변환을 해보는 것도 좋지만, 투자자라면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는 무엇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딥시크 : 중국 AI가 흔들어 놓은 투자의 방향

불과 2달전만 하더라도 우리는 딥시크에 놀랐습니다. 그동안 AI는 엄청난 규모의 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미국의 7개 기업만 할 수 있고 중국은 절대 따라갈 수 없다고 생각했던 우리의 고정관념을 한 번에 날려주었습니다. 

 

중국은 엔비디아 반도체도 없잖아

 

미국의 중국에 대한 반도체 규제속에서도 중국이 공개한 딥시크는 GPT-4를 능가하는 성능과 저렴한 개발 비용으로 전 세계인의 주목을 받기에 충분했습니다. 

 

이로 인해 전세계의 자금이 미국으로 쏠려 상승한 미국의 s&p500과 나스닥은 현재 한풀 꺾인 모습입니다. 물론, 트럼프의 오락가락 정책도 한 몫하겠지만요. 하지만, 그동안 우리가 신봉했던, AI는 미국만 가능하리라 믿었던 신념이 무너진 것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챗gpt 지브리 스타일 유행 : 다시 미국으로? 주식 시장의 변화

샘올트먼-기사-책지티피-지브리사용

 

 

챗gpt 지브리 스타일이 유행하고 샘 올트먼이 장난 섞인 목소리로  X에 글을 남겼습니다. 제발 이미지 생성을 자제해 달라고요. 속으로는 얼마나 좋을까요?

수요가 말도 안 될 정도로 많다. 우리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

 

챗gpt를 만든 오픈AI는 그동안 ai에 엄청 공격적으로 투자를 진행해 왔습니다. 하지만, 딥시크가 나온 이후로 사람들이 의심하기 시작했죠.

 

뭐야? 그동안 과잉투자한거 아니야?

 

하지만, 이번 챗gpt 지브리 스타일 유행으로 증명되었습니다. 이거 며칠 유행했다고 GPU가 녹아내린다면 그동안의 투자가 헛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요. 

 

앞으로 소비자를 상대로 한 모델이 개발되어 나올텐데, 지금의 투자가 오버스러운 것이 아닌 거죠. 앞으로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이고 사람들은 제대로 된 ai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기꺼이 돈을 지불할 것입니다. 단순히 유행하는 지브리 스타일의 사진 만들기 위해 유료로 가입한 챗gpt 구독자가 급증한 것을 보면 알 수 있죠. 

 

2025년 주식 어디에 투자할 것인가 (AI 투자 전략) : 미국 대형주 vs 중국 (홍콩)

딥시크도 맞고 오픈 AI도 맞습니다. 즉, 여기서도 양극화가 진행될 텐데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거대 규모의 사업은 미국의 빅 4 회사 정도만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 가능한 소규모 AI도 필요할 것이고 이를 만들어내는 기업도 생길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코덱스-미국s&p500-차트

 

현재 미국의 s&p500과 나스닥은 상당히 주춤한 상황입니다. 추세를 깨고 있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하지만, 저는 지금의 미국 경제침체 우려가 금리인하를 촉발시켜 버블을 만들어내는 초석을 만들고 있다는 전문가의 견해에 동의하고 있습니다.

 

즉, 4월은 주춤하겠지만 관세가 어느 정도 마무리 되면 다시 오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4월 이후 미국 증시 시나리오가 궁금하시다면 ▼ 

 

트럼프, 경제침체를 의도했나? 4월 이후 미국 증시 향방은?

서학개미들 많으시죠? 저는 현재 국장 : 중국(홍콩포함): 미국의 비중이 6 : 3 : 1 정도이지만 앞으로 4: 3: 3 정도로 비중을 맞춰나갈 계획인데요. 지금 미국 들어가도 괜찮을까요? 미국의 경제침체

multiplyingbear.com

 

코덱스-차이나항셍테크-차트

 

 

중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미국과 관세전쟁이 마무리된다면 중국만의 길을 갈 것입니다. 전 세계에서 중국을 무시하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다고 하죠. 미국도 견제하는데요.ㅎㅎ

 

그렇기 때문에 저는 전 세계에서 AI 제일 잘하는 두 국가 모두에 각각 투자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2025년 주식 언제 투자할 것인가 (4월 이후 ) : 하반기 투자 전략

트럼프는 대통령후보일 당시, 각종 규제완화를 대선 공략으로 내세웠습니다. 지금은 관세전쟁으로 아무도 기억 못 하고 있지만요. 하지만 트럼프는 내년에 있을 중간선거에서 이겨야 하기 때문에 하반기에는 규제완화 등의 당근책을 쓸 것으로 예상합니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대표적인 규제완화가 데이터사용권입니다. 즉, 지적재산권에 대한 규제 완화입니다. 챗gpt 지브리 스타일도 지적재산권 침해 등으로 말이 많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생성형 ai 사용은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입니다. 

 

또한, 6월에는 테슬라의 로봇택시 공개도 있습니다. 론 머스크는 공개하겠다고 약속하고 한 번도 약속을 지킨 적이 없어 확정할 순 없지만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4월 말부터는 미국에 다시 들어가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안정적으로는 미국 S&P500에 투자를 하시고, 조금 공격적으로 하신다면 미국의 빅 4 기업에 투자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알파벳 a, 메타) + 중국도 일부분 담고요. 

 


챗gpt-지브리스타일-세아이
< 전혀 닮지 않은 나의 아이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