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문 바로가기
-->

2025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방법·대상·사용처 총정리 : 나는 상위 10%일까?

곱하기곰 2025. 9. 15.
-->
300x250

2025년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시작! 민생회복소비쿠폰 상위10%는? 국민 90% 대상, 가구원별 건강보험료 기준표와 맞벌이 기준, 신청 일정·방법·사용처·개선사항까지 총정리했습니다. 

 

 

민생회복쿠폰-정부자료-표지

 

 

1) 신청대상자 가구 구성원 기준

민생회복쿠폰-가구원수-정의

  • 민생회복쿠폰 지급 대상자의 가구 구성 기준 :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록된 사람을
  • 다만, 건강보험 피부양자인 배우자·자녀는 주소가 달라도 동일 가구로 인정
  • 부모는 주민등록상 주소가 다르면 별도 가구
  • 주소지가 다른 맞벌이 부부는 별도의 가구로 보지만 부부의 합산보험료가 유리하면 동일한 가구로 봅니다.
  • 재외국민·외국인도 일정 조건 충족 시 동일 가구로 포함

 

2) 외국인 지급 대상

민생소비쿠폰-외국인기준

  • 재외국민은 주민등록표 등재 + 건강보험자격 보유
  • 외국인은 내국인인 1인 이상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 + 건강보험자격 보유
  • 영주권자(F-5) 결혼이민자(F-6)  난민 인정자(F-2-4)는 건강보험자격 보유(혹은 의료급여수급자) : 주민등록과 무관
  • 단, 고용허가제(E-9) 외국인은 제외.

 

3) 고액자산가 제외 기준

  •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 원 초과 가구 : 공시가로 약 26억~27억 원, 시세 약 40억 원 수준
  • 금융소득 연 2천만 원 초과 가구 → 해당 가구는 전원 지급대상에서 제외됨.

 

4) 민생지원금 2차 상위10%는?

민생지원금 2차 상위10% 건강보험료 기준표
가구원수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1인 220,000원 220,000원 330,000원
2인 330,000원 310,000원 420,000원
3인 420,000원 390,000원 520,000원
4인 510,000원 520,000원 620,000원
5인 600,000원 590,000원 730,000원
6인 690,000원 670,000원 850,000원
7인 780,000원 740,000원 850,000원
8인 850,000원 820,000원 930,000원
9인 930,000원 860,000원 1,050,000원
10인 1,050,000원 960,000원 1,230,000원


* 혼합: 직장+지역가입자 모두 있는 가구

 

 

5) 다소득원(맞벌이 등) 가구 기준 (표)

  • 소득원이 2인 이상인 가구는 가구원 수 +1 기준을 적용
    예: 직장인 맞벌이 4인 가구 → 5인 가구 기준(510,000원이 아닌 600,000원 이하)

 

6) 알림 서비스

  • 국민비서 ‘민생회복 소비쿠폰 안내’ 서비스 사전 신청 시 지급대상 여부, 신청 기간·방법, 사용기한 등 안내
  • 신청: 네이버, 카카오톡, 토스, 국민비서 누리집(ips.go.kr)


7) 대상자 조회

  • 9월 22일(월) 오전 9시부터 조회 가능
  • 경로: 카드사 앱·홈페이지·콜센터, 건강보험공단 누리집/앱, 은행 영업점,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8) 신청 방법 및 일정, 사용기한

  •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 ~ 10월 31일 오후 6시
  • 신청 주체: 성인(본인 신청), 미성년자(세대주 신청)
  • 첫 주(9/22~26): 출생연도 끝자리 요일제 (월 1·6, 화 2·7, 수 3·8, 목 4·9, 금 5·0)
  • 신청 수단: 카드사 앱/홈페이지/콜센터/은행 →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지급
    지자체 앱 → 지역사랑상품권(모바일/카드형)
    주민센터 → 종이형 상품권, 선불카드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미사용 잔액 환수)

 

9) 1차 대비 개선사항

  • 군 장병, 의무복무 중인 사람도 지급받아 복무지 인근에서 사용 가능
  • 읍·면 지역 하나로마트, 로컬푸드 직매장, 지역생협 매장 사용 가능 (매출액 상관없이)
  • 주민센터 신청 시 신분증만 제시하면 별도 신청서 없이 수령 가능
  • 친환경 농산물 소비 확대 등 공익 목적 매장도 사용처 포함
  •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강화 → 고령자·장애인 등 취약계층 배려
300x250

댓글